Util(2)
-
[Firebase} FCM
1. 리얼타임 데이터베이스-> 실행하는동안에 수정이 된다. 2.FCM - 지속형 연결- 최근에는 SSE라고 한다. > Server Sent Events> Server -> 클라이언트에게 실시간으로 보내주는것- websocket -> socket.io 이용해서 채팅 구현>>앱이 활성화가 되어있어야 동작한다.>>>알림이란느 서비스 자체가 포그라운드, 백그라운드 에서 작동을 해야한다.>>>> React쪽 메세지를 받을 수 있는것을 테스트 해줘야 한다.>>>>> Boot쪽에서 메세지를 쏘는것도 해야한다. 1. FireBase- 로그인> console>> HTML5에 워커라는 개념이 있다. > 브라우저 화면 다 뜨고 백그라운에서 동작하는것 > 걔를이용해서 돌아가는것 - 2가지 테스트 화면 떠있을때, 안떠있을때-..
2024.11.07 -
소셜로그인
카카오, 네이버 = 권한부여 승인 코드 방식1. Github -> Docker로 뻈을때 React Router로 빼는것 1) 동의화면을 통해 짧은시간이 유지되는 인가코드를 얻어온다.2) 인가코드를 보내준다음 OAuth2.0 accessToken을 얻어야 한다. 3) accessToken을 가지고 사용자의 정보를 얻어온다. - 목적 : access, refresh Token얻어오는것- 이슈가 되는 것 : password를 뭘로 지정할거냐 c86cb2d253820fd570c53e34a6aea3a0 보안코드4kCBULXwHC9qrKm14F8TqtoShbmQjsu8 로그인 경로 설정PostMan 대신 RestTemplate를 사용한다. RestTemplate restTemplate = new Rest..
2024.10.31