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25. 3. 13. 16:53ㆍegov
- maven과 DB연동은 하지 않았다.
1. eGovFrame - Start - New Web Project로 eGovFrame Project를 생성
- New Web Project가 아닌 New Template Project의 Simple Homepage로 추가하는 방법도 있다.
- maven을 사용하지 않을것이기에 version = 1.0.0
- Target Runtime에서 설정했던 Tomcat 또한 추후에 추가해줄 예정
- 개발환경 프로젝트 때 사용했던 예제 소스 그대로 실행환경으로 기동시키기 위해 Generate Example추가
2. 실행환경 다운로드
- 생성한 프로젝트에서 실행환경 소스를 import하기 위해 v3.10.0 Lite-Minimum 소스를 다운 https://www.egovframe.go.kr/home/sub.do?menuNo=34
3. import로 Lite-Minimum을 가져온다.
- General - Archive File
- 프로젝트 tree의 WEB-INF/lib 하위에 import , 해당 경로를 잘 확인한 뒤 OK를 클릭
- 성공적으로 import되었다.
4. Maven 설정 해제 및 실행환경 라이브러리 추가
- Maven을 해제하고 나면 X가 뜬다. 걱정하지말고 Build Path - Configure Build Path
- Web App Libraries를 추가하기 위해 Add library 이후 프로젝트 명이 맞는지 확인하고 라이브러리 추가된것 확인
- Web App libraries가 잘 올라간것을 확인할 수 있다.
5. 리소스 의존성 추가하기
- 실행 환경을 Run하기위해 필수로 진행되어야 함
- Properties - Deployment Assembly 탭에서 추가한 라이브러리의 리소스 의존성 추가
- src/main/resources 선택
- src/main/resources의 Deploy path를 WEB-INF/classes로 수정하고 apply
6. 실행을 위한 Server 추가 후 실행
- egovSample을 위한 서버를 추가한다. ( 기존서버로 실행 X )
- 또한 모든 설정을 default로 하게 되면 오류가 생기기에 아래 3가지 설정을 해준다.
1) Server Locations - Use Tomcat installation
2) Server Options - Publish module contexts to separate XML files, Modules auto reload by default 체크
3) Ports - HTTP/1.1 : Port Number 겹치지 않을 번호 변경
- 톰캣 저장후 실행하면 개발환경에서 떴던 화면과 동일한 결과를 볼 수 있다.
'egov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8] eGovframework Simple Homepage Project 실습 (0) | 2025.03.14 |
---|---|
[5] eGovFramework 개발 환경 - Maven 빌드 및 Junit test (0) | 2025.03.13 |